티스토리 뷰
현재 정부에서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의 매출 증대와 함께 내수 회복을 위해서 9월 15일부터 '상생페이백' 제도를 시행합니다.
'상생페이백' 제도는 지난해 보다 카드 소비가 늘어난 금액의 20%를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 제도를 뜻합니다.
환급 가능한 금액은 최대 월 10만 원으로 3개월 동안 최대 30만 원까지 환급이 가능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많은 분들의 관심이 쏠린 만큼 많은 정보를 얻어가길 바라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상생페이백 신청 방법(기간), 환급 방법을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상생페이백
- 기간 : 2025년 9월 ~ 11월
- 대상 : 만 19세 이상(2006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지난해 카드 사용 실적이 있는 국민 및 외국인
- 내용 : 지난해(2024년) 월평균 카드 사용액보다 올해 같은 기간 소비액이 늘어난 경우, 증가분의 20%를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으로 환급
- 한도 : 월 최대 10만 원, 3개월간 최대 30만 원 환급
2. 상생페이백 신청 방법 및 기간
- 기간 : 2025년 9월 15일(오전 9시) ~ 11월 30일(자정)
- 신청 방법 : 상생페이백 누리집 홈페이지 접속(상생페이백. kr) → 본인인증 → 신청
- 필수 조건 :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지급을 위해 디지털 온누리 앱 가입 필수
- 현장 신청 :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경우, 전통시장 상인회(250곳), 소상공인지원센터(78곳), 농협 · 국민 · 우리은행 등에서 지원 가능
★ 신청 유의사항
- 신청 첫 주는 출생연도 끝자리 기준 5부제 운영(온라인만 해당)
- 9월 20일부터는 요일제 제한 없이 신청 가능
- 9월 소비분 환급을 10월 15일에 받으려면 최소 10월 9일까지 신청
3. 환급 일정 및 지급 방식
9월부터 환급이 시작이 되며 11월까지 환급이 완료가 됩니다. 매월 소비분에 따라 지급일에 환급금이 지급이 됩니다
- 9월 소비분 : 10월 15일 지급
- 10월 소비분 : 11월 15일 지급
- 11월 소비분 : 12월 15일 지급
지급 수단은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이며 유효기간은 5년입니다. 상품권 사용처는 전통시장, 상점가 등 전국 약 13만 개 가맹점에서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사용원칙은 충전해 둔 상품권 보다 상생페이백 환급분이 먼저 차감이 되는 방식입니다.
마무리
모든 것을 정리해 보면 상생페이백 환급을 받으려면 소비실적 인정 사용처인 소상공인 매장 위주로 결제를 해야 합니다.
- 지난해 보인 월평균 소비액 확인
- 디지털 온누리 앱 사전 가입 필수
- 동네 상점, 전통시장에서 카드 결제 중심으로 소비 필수
- 신청 첫 주 5부제 확인 후 빠르게 신청
앞서 알려드린 방법으로 준비하면 3개월간 최대 30만 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다가오는 9월 15일에 상생페이백 신청 놓치지 말고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