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힘든 현실을 살아가고 있는 청년들을 위해서 나라에서 추진하는 많은 정책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청년들에게 가장 큰 힘이 되는 정책은 바로 청년도약계좌가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본인의 의지만 확고하다면 지원규모가 타 정책에 비해 압도적입니다.
다만 유지하는 기간이 있다 보니 많은 청년들이 정해진 기간 동안 계좌를 유지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확고한 목표설정과 계획을 세워서 자산을 늘리는 데 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1.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청년도약계좌는 모든 연령에게 주어지는 조건의 계좌가 아닙니다.
대표적인 가입조건은 연령, 개인소득, 가구소득에 대한 제한이 있습니다.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연령 : 만 19세 ~ 34세 이하 청년(군필자는 복무기간 6년까지 인정)
- 개인소득 : 총급여액의 7,500만 원 이하
(7,500만 원의 급여액은 상당히 높은 수준의 급여이기에 대부분이 포함이 될 것입니다.)
- 가구소득 : 기준중위소득 250% 이하
가구원 전체 소득이 기준중위소득의 250% 이하여야 합니다.
1인 가구는 598만 원 이하이므로 개인소득 제한보다 높기 때문에 특별히 문제는 되지 않고 2인 가구는 983만 원, 3인 가구는 1,256만 원, 4인 가구는 1,524만 원입니다.
2. 청년도약계좌 혜택 및 장점
정부가 지원금을 준다는 것과 비과세 혜택이라는 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지원금은 본인이 넣은 금액에 비례하고 만기 시 이자에 대해 이자 소득세가 나가지 않기 때문에 꾸준히 넣은 다음 만기 시 혜택을 크게 누릴 수 있습니다.
- 가입기간 : 5년 (많은 청년들이 가입기간을 채우는 것을 가장 힘들어하는 부분입니다.)
- 납입금액 : 최대 70만 원까지
- 비과세 혜택 : 만기 시 이자에 대해 이자 소득세가 면제
- 지원금 : 월 2.1 만원 ~ 3.3 만원
개인 소득에 따라 정부에서 차등으로 지원금을 주고 있습니다.
예상 수령 금액을 계산해 보면 60개월 70만 원씩 4.5% 상품에 납입을 했다면 원금은 4,200만 원, 이자는 480만 원, 정부 기여금 198만 원으로 총수령액은 약 4,880만 원이 됩니다.
3. 가입 방법
가입 방법은 각 은행 앱에서 가능합니다.
해당 은행 어플에 들어가서 '청년도약계좌'를 검색하면 가입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가입 시 주의할 점은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중복으로 가입을 할 수 없습니다. 3년 이상 유지 후에 해지할 시 비과세 유지 및 기여금도 지급합니다. 그리고 2년 이상 유지 할 시에는 납입금의 40% 이내에서 인출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사회에 첫 발을 내딛고 힘든 현실을 살아가고 있는 청년들에게 이보다 더 좋은 정부 정책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루빨리 신청하셔서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